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이러닝센터의 “공감 더하기, 폭력예방교육 (공공기관) [성희롱·성폭력·성매매·가정폭력 예방]” 사이버교육의 정답 목록입니다.
목차
- Q1. 다음 중 2차 피해와 관련하여 잘못된 것은?
- Q2. 성희롱 유형 중 육체적 성희롱은 신체접촉을 수반하는 행위이나, 형사처벌되는 행위는 아니다.
- Q3. 다음 중 성매매 수요 차단이 중요한 이유로 적절치 않은 것은?
- Q4. 미국 국무부의 2022년 인신매매 보고서에는 인신매매 방지와 관련한 한국의 지위를 2등급으로 평가했다
- Q5. 디지털 성범죄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성적 폭력과는 연관이 없다.
Q1. 다음 중 2차 피해와 관련하여 잘못된 것은?
Q1. 다음 중 2차 피해와 관련하여 잘못된 것은?
- 피해자가 피해사실을 문제 삼는 과정에서 입게 되는 여러 손해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 2차 피해는 여성폭력방지기본법에 개념 정의가 되어 있는 법률적 개념이다
-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2차 피해로부터 보호받을 권리를 피해자의 권리로 보장하는 규정은 두고 있지 않다.
- 2차 피해를 경험하는 피해자 역시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
해설: 여성폭력방지기본법은 2차 피해로부터 보호를 받을 권리를 여성폭력 피해자의 권리로 보장하고 있다.
Q2. 성희롱 유형 중 육체적 성희롱은 신체접촉을 수반하는 행위이나, 형사처벌되는 행위는 아니다.
Q2. 성희롱 유형 중 육체적 성희롱은 신체접촉을 수반하는 행위이나, 형사처벌되는 행위는 아니다.
- O
- X
해설: 육체적 성희롱은 형법상 강제추행 등으로 형사처벌될 가능성이 있다.
Q3. 다음 중 성매매 수요 차단이 중요한 이유로 적절치 않은 것은?
Q3. 다음 중 성매매 수요 차단이 중요한 이유로 적절치 않은 것은?
- 새로운 알선자는 계속 생겨나므로 알선자 처벌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 알선자를 처벌하는 데 있어 피해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피해자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
- 피해자들은 성매매 근절을 위해서는 알선자 처벌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
- 성 구매자들은 성매매 네트워크의 정보원 역할을 하므로 이에 대한 차단이 필요하다.
해설: 상업적 성착취의 피해자들은 성매매의 근절을 위해서는 성구매자들에 대한 수사와 처벌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Q4. 미국 국무부의 2022년 인신매매 보고서에는 인신매매 방지와 관련한 한국의 지위를 2등급으로 평가했다
Q4. 미국 국무부의 2022년 인신매매 보고서에는 인신매매 방지와 관련한 한국의 지위를 2등급으로 평가했다
- O
- X
해설: 우리나라는 미 국무부의 인신매매 보고서 중 인신매매 방지와 관련한 한국의 지위에 있어 2001년부터 1등급을 유지해온 이후 2022년 2등급으로 하락 조정되었다.
Q5. 디지털 성범죄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성적 폭력과는 연관이 없다.
Q5. 디지털 성범죄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성적 폭력과는 연관이 없다.
- O
- X
해설: 디지털 성범죄는 온라인 상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프라인 공간에서 발생하는 성적 폭력의 연속선상에 있기도 하다.
